IT 감리 절차 / 감리원 역할
IT 감리 절차 / 감리원 역할
🎯 IT 감리 – 절차 / 역할 / 준수 수칙
정보시스템 사업은 대규모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며, 품질 저하·일정 지연·보안 취약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정보시스템 감리는 발주기관의 투자 보호와 사업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법적·제도적으로 의무화되었으며, 감리 절차와 감리원의 역할 및 준수 수칙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Step 1. 감리 절차
정보시스템 감리 절차는 일반적으로 4단계로 구분된다.
| 단계 | 주요 활동 | 산출물 |
|---|---|---|
| 착수 단계 | 감리 계약 체결, 감리계획 수립 및 이해관계자 협의 | 감리계획서 |
| 수행 단계 | 자료 수집·인터뷰, 산출물 검토(요구사항·설계·코드 등), 현장 점검 및 시험 | 중간감리보고서 |
| 종합 단계 | 주요 이슈 종합 분석, 개선·보완 권고사항 도출, 발주자 협의 | 종합감리보고서 |
| 후속 조치 | 시정조치 이행 여부 확인, 필요 시 후속 감리 수행 | 이행점검보고서 |
Step 2. 감리원의 역할(Role)
- 객관적 검증자: 발주자와 사업자 사이에서 중립적 위치 확보
- 전문성 제공자: SW공학, 데이터, 보안, 품질 등 다분야 전문지식 활용
- 위험 관리자: 일정·비용·품질 리스크를 조기 발견하고 개선책 제시
- 의사소통 창구: 이해관계자 간 갈등 조정, 객관적 근거 기반 협의
- 성과 보장자: 사업 품질·안전성 확보를 통해 발주자의 투자 보호
Step 3. 감리원 준수 수칙
- 독립성: 발주자·사업자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운 판단 유지
- 공정성: 객관적 기준에 따라 동일한 평가 수행
- 비밀 유지: 감리 과정에서 취득한 정보·자료의 외부 유출 금지
- 전문성 유지: 최신 기술·법규 학습을 통한 역량 확보
- 책임성: 감리 결과와 권고에 대한 책임 의식
- 이해상충 회피: 사적 이해관계가 있는 사업 감리 회피
Step 4. 결론
IT 감리는 정보시스템 사업의 품질 확보와 위험 예방을 위한 핵심 제도이다. 감리 절차(착수–수행–종합–후속조치)를 체계적으로 준수하고, 감리원이 역할과 윤리적 수칙을 충실히 수행할 때, 발주자의 투자 보호와 국가 정보화 사업의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참고자료
- 전자정부법 시행령
- 제65조(정보시스템의 감리 등) 이하 조항에서 감리 절차·범위·보고서 관련 규정 명시
- 국가법령정보센터 – 전자정부법 시행령
- 행정안전부 고시: 정보시스템 감리기준(제2021-4호)
- 감리 수행 방식, 절차, 감리원 배치기준까지 상세히 규정
-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정보시스템 감리 자료실
-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관리 가이드, 감리 수행 가이드, 감리 대가기준 제공
- 소프트웨어진흥법
- 제48조(정보시스템의 감리) 조항에서 발주기관이 일정 금액 이상의 사업에 대해 감리 의무화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