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자일(Agile) vs DevOps, 같은 듯 다른 개발 문화
애자일(Agile) vs DevOps, 같은 듯 다른 개발 문화
🎯 애자일(Agile) vs DevOps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은 폭포수(Waterfall) → 애자일(Agile) → DevOps로 진화해왔다. 그중에서도 요즘 가장 많이 비교되는 것이 바로 애자일과 DevOps이다.
많은 사람들이 “둘이 같은 건가?”, “애자일이 DevOps로 바뀐 건가?” 하고 혼동하곤 한다.
그래서, 두 방법론의 차이와 관계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Step 1. 애자일(Agile)
- 정의: 고객 중심의 반복적·점진적 개발 방법론
- 핵심 가치:
- 변화 수용
- 빠른 피드백
- 협업 중심 개발 (Scrum, Kanban 등)
- 장점: 출시 속도 ↑, 고객 만족도 ↑
- 한계: 운영(Ops)까지는 고려하지 않음 → 배포/운영 과정에서 병목 발생
Step 2. DevOps
- 정의: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s)의 통합 문화 및 체계
- 핵심 요소:
- CI/CD (지속적 통합/배포)
- IaC (Infrastructure as Code, 인프라 자동화)
- 모니터링 & 피드백 루프
- 장점: 빠른 배포 + 안정적 운영 동시 달성
- 진화: DevOps → DevSecOps(보안 내재화) → AIOps(운영+AI)
Step 3. 애자일 vs DevOps 비교
| 구분 | 애자일 (Agile) | DevOps |
|---|---|---|
| 적용 범위 | 개발 프로세스 중심 | 개발 + 운영 전체 사이클 |
| 초점 | 고객과 협업, 기능의 빠른 제공 | 배포 자동화, 운영 안정성 |
| 활동 | 스프린트, 데일리 스크럼 | CI/CD, IaC, 모니터링 |
| 문화 | 개발팀 내부 중심 | 개발 + 운영 조직 협업 |
| 개발 주기 | 스프린트 단위 반복 개발 (2~4주) | CI/CD로 하루 수십 번도 배포 |
| 협업 대상 | 개발자 ↔ 고객/기획자 | 개발자 ↔ 운영자 ↔ 보안팀 |
| 예시 | “다음 스프린트에 로그인 기능 추가” | “로그인 기능 Merge 후 자동 배포 & 모니터링” |
| 결과 | 빠른 고객 피드백 | 신속 +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
Step 4. 두 방법론의 관계
- 애자일은 DevOps의 기반 문화이다.
- DevOps는 애자일을 조직/운영 레벨로 확장한 개념
- 둘은 경쟁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 관계
한마디로 정리하면
애자일은**빠른 개발**,DevOps는**빠른 +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라고 할 수 있다.
Step 5. 결론
- 폭포수는 과거의 전통적 방법론
- 애자일은 개발 단계의 민첩성 확보
- DevOps는 개발 + 운영까지 통합 민첩성 확보
📚 참고자료
- Atlassian. Agile vs DevOps
- AWS. The difference between Agile and DevOps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